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ikDVGYp5dhg
- Transport Layer : End point간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계층
- 신뢰성 : 데이터를 순차적, 안정적으로 전달
- 전송 : 포트 번호에 해당하는 프로세스에 데이터를 전달
- TCP(Transmission Control Protocol) : 신뢰성 있는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프로토콜
- Connection 연결 (3-way handshake) - 양방향 통신
- 단점 : 시간 손실, 패킷을 조금만 손실해도 재전송
- UDP(User Datagram Protocol) : TCP보다 신뢰성은 떨어지지만 전송 속도가 일반적으로 빠른 프로토콜
- Connectionless
- 비교적 데이터의 신뢰성이 중요하지 않을 때 사용(영상 스트리밍 등)
'공부 기록 > 영상 후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도커가 뭐고 왜 쓰는 건가요? (0) | 2023.02.28 |
---|---|
정적 웹은 뭐고 동적 웹은 뭔가요? (0) | 2023.02.28 |
객체와 클래스 완벽 설명!! 더 이상 헷갈려 하시지 마시고 들어보세요~ (0) | 2023.02.27 |
[10분 테코톡] 무민의 JVM Stack & Heap (0) | 2023.02.27 |
JVM, JRE, JDK가 뭔가요? (0) | 2023.02.27 |